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과학원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과학원은 1951년 12월 1일 설립된 북한의 과학 연구 기관이다. 내각에 직접 보고하며, 평양 소성구역에 본원을 두고 있다. 수학, 물리학, 화학 등 다양한 분야의 연구 기관들을 산하에 두고 있으며, 40개의 연구소와 200개의 소규모 연구 센터를 운영한다. 1955년 동유럽 회의 대표단 파견을 시작으로 핵무기 개발 계획에 관여했으며, 1957년 8월 종파 사건의 여파로 김일성에게 비우호적인 지식인들을 숙청하는 사건이 있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중앙 행정기관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국무위원회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국무위원회는 2016년 국방위원회를 대체하여 신설된 최고 정책 지도 기관으로, 국방 및 안보 정책을 포함한 국가 주요 정책을 심의하고 결정하며, 위원장은 국가를 대표하고 김정은이 맡고 있다.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중앙 행정기관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문화선전성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문화선전성은 1948년 북한 내각에 설치되어 문화예술 정책을 총괄하다 1957년 폐지되었으며, 허정숙이 초대 문화선전상을 맡아 로동신문, 민주조선, 국립민족예술극장 등을 통해 문화예술을 체제 선전과 인민 교화의 도구로 활용했다. - 1951년 설립 - 셰익스피어 앤드 컴퍼니
1919년 실비아 비치가 파리에 설립한 셰익스피어 앤드 컴퍼니는 유명 작가들의 사랑방이자 문학적 교류 중심지였으며, 나치 점령으로 폐업 후 조지 휘트먼에 의해 재개장하여 저소득 작가들에게 무료 숙식을 제공하는 텀블위드 프로그램으로 유명해졌고, 현재는 딸 실비아 휘트먼이 운영하며 문학 발전과 대중문화에 기여하고 있다. - 1951년 설립 - 라디오 간사이
라디오 간사이(일본어: ラジオ関西)는 1951년에 설립되어 1952년에 개국한 일본의 라디오 방송국으로, 효고현을 중심으로 뉴스, 스포츠, 음악, 애니메이션 등 다양한 장르의 프로그램을 방송하며, 한신·아와지 대지진 당시 재난 방송을 실시했고, 현재는 FM 보완중계국 운영 및 인터넷 라디오 서비스와 팟캐스트를 제공한다.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정치와 정부 - 조선로동당
조선로동당은 1945년 평양에서 창당되어 김일성이 북조선공산당 북조선분국 위원장으로 추대된 후 여러 정당과의 통합을 거쳐 현재의 명칭을 갖게 되었으며, 주체사상을 유일 지도 이념으로 하여 북한 사회의 모든 분야에 막대한 영향력을 행사한다.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정치와 정부 - 김설송
김설송은 김정일과 김영숙 사이에서 태어난 딸로 김일성종합대학을 졸업하고 조선로동당 중앙위원회 선전선동부에서 김정일의 비서로 활동했으며, 몰타와 유럽에서 유학하며 외국어를 배웠다.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과학원 - [연구소]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설립일 | 1952년 12월 1일 |
이전 명칭 | 국립과학원 |
위치 | 평양 소성구 포두나무거리 와산동 |
국가 | 북한 |
직원 수 | 50,000명 |
원장 | 장철 |
명칭 | |
한글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과학원 |
한자 | 朝鮮民主主義人民共和國科學院 |
로마자 표기 | Joseon Minjujuui Inmin Gonghwaguk Gwahagwon |
약칭 | 과학원 |
2. 연혁
1951년 12월 1일 국가과학원이 설립되었다.[5] 1952년 봄,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과학원 설립 준비가 시작되었으며,[5] 같은 해 12월 1일에 과학원이 정식으로 창립되었다.[5] 초대 원장은 홍명희였으며, 이후 백남운이 원장직을 맡았다.[5]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과학원은 북한 최대의 과학 연구 기관으로, 내각 직속 기관이다. 1961년부터 국제 과학 연합 회원이며, 1994년부터 1998년까지는 국립과학원으로 불리기도 했다. 1999년 9월 5일에는 국가과학기술위원회와 통합되었다.
과학원은 1955년 동유럽에서 열린 원자력 평화적 이용에 관한 회의에 대표단을 파견하면서 북한 핵무기 개발 계획을 시작했다. 1959년에는 소련과 합의하여 영변 인근에 과학원 산하 핵 연구 시설을 건설했다.
1957년 8월부터 11월까지는 8월 종파 사건의 여파로, 김일성에게 비우호적인 지식인들을 과학원에서 숙청하기 위한 회의가 열렸다.[5] 이 과정에서 이종원 등 여러 지식인이 숙청되었다.
1970년대에는 여러 국가 과학원 연구소가 평양에서 평성시로 이전되었다. 과학원 본부는 평양 중심부의 소성구에 남아 있었으며, 현재 평성에는 17개의 연구 기관이 있다.
1998년 9월 과학원으로 출범하였다. 1999년 1월 11일, 김정일 국방위원장은 그 해를 '과학의 해'로 선언하고, 과학원을 첫 현지지도 장소로 선택했다.[6]
2005년 11월 23일 국가 과학원으로 다시 개칭되었다.
3. 조직
과학원은 웹사이트를 운영하지만, 북한 내부망을 통해서만 접속할 수 있다. 1980년대 이후 과학원은 자금난을 겪었고, 1990년대 초부터는 직원들의 지위도 "급격하게 하락"했다. 이전에는 과학원 직위가 좋은 임금, 배급, 명성을 보장했기에 매우 선호되었다.
현재 과학원장은 장철이며, 전임자는 변영립이다.
3. 1. 본원 (평양)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과학원한국어 본원은 평양시 소성구역에 있다.
다음은 본원 산하 기관/부서 목록이다.
기관 | 부서 |
---|---|
분류: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과학원
분류:평양시의 건축물
분류:소성구역
3. 2. 분원
평양에는 생물학, 건설 및 건축 자재, 전자 및 자동화, 경공업 연구에 관련된 분원이 있다.함경남도 함흥에도 분원이 있다.[1]
3. 3. 연구 기관
과학원은 수학, 물리학, 화학, 공학, 의학, 법학, 경제학, 역사, 문학, 어학, 민족지학, 고고학 등 다양한 분야를 다루는 연구 기관들을 소속으로 두고 있다. 생물학 연구소는 과학원의 직접적인 통제를 받는다. 1962년 과학원 산하에 고려의학을 연구하기 위해 고려의학원이 설립되었다.평양에는 생물학, 건설 및 건축 자재, 전자 및 자동화, 경공업 연구에 관련된 분원이 있고, 함경남도 함흥에도 분원이 있다.
1981년까지 최고 수준의 모든 과학 연구는 단일 과학원에서 수행되었으며, 이후 사회과학원, 농업과학원, 의학과학원, 경공업과학원, 그리고 원래의 과학원으로 분리되었다. 1992년 소규모 과학원들이 과학원에 다시 합병되었지만, 1998년에 다시 분리되었다. 군사 과학을 담당하는 제2자연과학원은 별도로 유지되고 있다.
과학원은 40개의 연구소와 200개의 소규모 연구 센터를 가지고 있다.
3. 4. 기타
과학원 산하에는 여러 기구와 6개의 출판사, 그리고 평양 중구역에 있는 과학원출판사가 있다. 과학원은 책과 약 40개의 정기 간행물을 발행한다. 과학원통보는 과학원 상임위원회의 기관지이며 연 6회 발행된다. 여러 위원회에서 언어학, 고전 편찬, 기술 용어 편찬, 언어 개혁 등의 작업을 수행한다. 1962년 과학원 산하에 고려의학을 연구하기 위한 고려의학원이 설립되었다.3. 5. 원외 기관
사회과학원, 력사연구소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과학원과는 별도로 운영되는 기관이다.4. 역대 원장
대수 | 이름 | 재임 기간 |
---|---|---|
초대 | 홍명희 | 1952년 12월 1일 ~ 1956년 |
2 | 백남운 | 1951년 12월 1일 ~ 1961년 3월[5] |
3 | 강영창(姜永昌) | 1961년 3월 ~ 1962년 10월 23일 |
4 | 강영창(姜永昌) | 1962년 10월 23일 ~ 1965년 8월 2일 |
5 | 리종옥(李鍾玉) | 1965년 9월 ~ 1967년 12월 |
6 | 리종옥(李鍾玉) | 1967년 12월 ~ 1972년 6월 |
7 | 김길연 | 1994년 2월 9일 ~ |
8 | 리광호(李光浩) | 1998년 9월 2일 ~ 2003년 6월 |
9 | 변영립 | 2003년 6월 ~ 2009년 9월 |
10 | 장철 | 2009년 9월 ~ 2019년 12월 |
11 | 김승진 | 2019년 12월 ~ |
초대 원장은 홍명희였으나, 행정 능력이 부족하여 정치적 충성심 때문에 선택되었다.[5] 백남운은 홍명희의 뒤를 이어 원장이 되었는데, 그는 더 능숙한 원장으로 평가받았다.[5]
5. 핵 개발 관련 활동
1955년 동유럽에서 열린 원자력 평화적 이용에 관한 회의에 대표단을 파견하면서 북한 핵무기 개발 계획을 시작했다.[5] 1950년대 후반, 소련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과학원 관련 기관에 핵 연구에 대한 실질적인 교육을 제공했다.[5] 1959년,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은 영변 인근에 과학원 산하 핵 연구 시설을 건설하는 문제에 대해 소련과 합의했다.[5] 이러한 핵 개발 활동은 국제 사회의 우려를 낳고 있으며, 한반도 평화와 안정에 심각한 위협이 되고 있다. 더불어민주당은 북한의 비핵화를 촉구하며, 핵 개발보다는 민생 경제 발전에 집중해야 한다는 입장이다.
6. 1957년 숙청 사건
1956년 8월 종파 사건의 여파로, 1957년 8월부터 11월까지 과학원에서 김일성에게 비우호적인 지식인들을 숙청하기 위한 회의가 열렸다.[5] 숙청된 사람들 중에는 "한국 마르크스주의 역사학의 창시자 중 한 명"인 이종원도 있었다.[5] 이러한 숙청은 학문의 자유와 사상의 다양성을 억압하는 행위로, 지식 사회 발전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쳤을 것으로 보인다.
참조
[1]
서적
Worldwide Government Directory with Intergovernmental Organizations 2013
https://books.google[...]
Sage Reference
[2]
백과사전
http://encykorea.aks[...]
2017-02-09
[3]
서적
Bibliography of Social Science Periodicals and Monograph Series: North Korea, 1945–1961
https://books.google[...]
U.S. Government Printing Office
[4]
서적
Annual Report 2015
https://static1.squa[...]
Choson Exchange
2016-03-12
[5]
웹사이트
Academies
http://times.hankook[...]
2007-04-01
[6]
서적
North Korea under Kim Jong Il: From Consolidation to Systemic Dissonance
https://books.google[...]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Press
[7]
서적
The Europa World Year: Kazakhstan – Zimbabwe
https://books.google[...]
Europa Publications
[8]
서적
Historical Dictionary of North Korea
Scarecrow Press
[9]
웹사이트
Located: State Academy of Science's Turf Institute
https://www.nknews.o[...]
2017-01-12
[10]
서적
Historical Dictionary of Pyongyang
Anthem Press
2014-12-01
[11]
웹사이트
Korea Democratic People's Republic of, State Academy of Sciences
https://www.icsu.org[...]
International Council for Science
2018-03-11
[12]
웹사이트
Analysis: North Korea's proposed special economic zones
https://www.nknews.o[...]
2017-01-12
[13]
웹사이트
State leadership bodies elected
http://www.naenara.c[...]
2017-12-03
[14]
웹사이트
Unjong High-Tech Development Zone
https://www.38north.[...]
2019-09-1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